댐정보

한국의댐

소양강다목적댐

소양강다목적댐은 우리나라 토목사에 신기원을 이룩하며 건설된 극동에서 손꼽히는 크기의 저수능력을 갖춘 대규모 사력댐이다. 4대강 유역 종합개발계획에 따라 건설된 이 댐은 높이 123m, 길이 530m, 체적 960만㎥로서 20만㎾의 발전시설과 29억㎥에 달하는 저수용량을 갖추고 있다. 소양강은 유로 연장이 160㎞에 이르는 북한강의 최대지류로써 관광명소의 하나인 설악산에서 발원, 서쪽으로 흐르다가 춘천시에서 북한강과 합류한다.
이 댐은 춘천시 동북방 13㎞지점의 춘천시 신북읍과 동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북한강 유역의 유일한 다목적댐이다. 1967년 4월 가설비공사를 착수한 이래 약 6년 6개월의 공사 끝에 1973년 12월 준공하였다. 소양강다목적댐은 유역면적 2,703㎢로서 연평균 강수량 1,153㎜의 풍부한 수자원을 고도로 개발, 한강연안과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지역에 연간 12억 1천 3百萬㎥의 생.공용수 및 관개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또한 5억㎥의 홍수조절능력을 갖추고 한강 하류부의 수해방지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연간 3억5천3백만㎾h의 수력에너지를 생산.공급하는 한편, 하류로 방류된 용수를 이용 발전소에서 6천1백만㎾h의 전력생산 효과를 가져오는 등 국가경제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일반
하천명 한강수계, 북한강 지류 소양강
위치 댐지점 좌안 강원도 춘천시 동면 월곡리
우안 강원도 춘천시 신북읍 천전리
유역면적 2,703㎢
총사업비 321억원
연평균강우량 1,153㎜
연평균유입량 2,148百萬㎥
사업기간 1967. 4 - 1973. 12
본댐
형식 중앙차수벽형 사력댐(Zone Fill Dam)
길이 350m
높이 123m
체적 960萬㎥
마루표고 EL203.00m
여수로
계획방류량 5,500(㎥/sec)
문비 5문(13m×13m)
발전소
위치 댐우안 직하부
형식 지상발전소(옥내형)
수차발전기 3상종축 우산형 (Francis)
시설용량 20만kW
정격낙차 90m
사용수량 251㎥/sec
저수지
계획홍수위 EL198.00m
상시만수위 EL193.50m
홍수기제한수위 EL190.30m
저수지 EL150.00m
총저수용량 2,900百萬㎥
유효저수용량 1,900百萬㎥
저수면적 70.0㎢
홍수조절용량 500百萬㎥
유역개황

소양강은 총 유로연장 166.2㎞로써 한강수계를 형성하는 남한강의 최대지류이며, 오대산(EL 1,563m)부근에서 발원하여 남으로 유하하다가 춘천시 남북방에서 북한강에 합류된다. 소양강댐의 유역면적은 2,703㎢, 유로연장은 166.2㎞에 달하며, 또한 유역면적 내에는 강원도 인제, 고성, 양구, 춘천군이 있으며 본댐은 춘천시에서 동북방 13㎞, 북한강 합류지점에서 12㎞ 떨어진 소양강 계곡에 위치한 높이 123m, 댐길이 530m, 체적 약 9.6百萬㎥의 Fill Type Dam이다.
소양강 유역의 기후는 하계 및 동계의 몬순기후로써 12월-3월에는 시베리아에서 발달한 한랭하고 건조한 북서풍이 불어 소양강은 매년 결빙된다. 6월-8월에는 습하고 더운 남동풍 및 남서풍이 지배적이나 때때로 남태평양에서 발생한 폭우를 동반한 태풍으로 인하여 소양강 및 한강에 홍수를 야기시킨다. 춘계 및 추계는 동계 및 하계의 환절기로써 온화하고 좋은 기후이다. 연중 평균기온은 10℃내외이며 하계의 최고기온은 40℃까지 동계의 최저기온은 영하 30℃까지 내려간다. 소양강 유역의 지점 증발량은 연 약 1,059㎜이며, 유역의 준공 후 연평균 강우량은 1,149㎜로 유입량은 2,154百萬㎥이며, 강우의 계절적 분포는 태풍의 영향을 받으므로 다양하나 연간 강우량의 약 70%가 6월에서 9월 사이에 발생하고 있다.

건설배경

소양강다목적댐 건설사업은 1950년도경부터 기초조사 및 검토가 시작되었다. 1960년도에 접어들면서 사회적 여건의 급변에 따라 개발의 필요성이 고조되어 왔고 산업의 근대화와 수도 서울을 포함한 한강하류부 지역의 용수수요 급증에 따라 개발의 타당성이 제고 되었다. 정부의 시책에 따라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수립과 함께 국토건설 종합계획이 수립되었고 이에 따라 한강을 위시한 4대강 유역 종합개발계획을 수립하여 실시하기에 이르렀다. 1966년에 한강유역 합동조사단을 구성하여 당시까지 고려되어온 발전단일목적개발을 치수와 이수를 겸한 다목적개발방식으로 전환하였다.
동 조사단은 한강유역 내의 수자원종합개발을 위한 각종 조사를 거쳐 1968년 소양강다목적댐 건설계획을 포함한 유역 종합개발계획시안을 수립하였다. 정부는 상기계획을 면밀히 검토한 후 소양강다목적댐 건설사업의 최종계획을 결정하여 제2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사업의 일환으로 1967. 4.15. 준비공사를 착공하여 1968. 3.30. 제1호 가배수로 터널공사를 기공함으로써 본격적인 공사에 착수한 이래 만 5년 반 만인 1973.10.15.에 준공하였다.

수력발전소

1973년 11월 1일에 상업발전을 개시한 대단위 수력발전소로서 시설용량은 20만㎾(10만㎾×2대)이다. 연간3억5천3백만㎾h의 전력을 생산하여 수도권 및 중부지역일원에 전력을 공급하며, 급증하는 전력수요에 대처하고 있다. 이 전력량은 화력발전소에서 사용하고 있는 벙커C유 약40만 드럼분에 해당하며, 연간 70억원의 유류대체효과로 외화를 절감하고 있다.

효과
  • 용수효과 : 소양강다목적댐은 1,200百萬㎥의 생 공용수를 서울, 인천, 수원 등 대도시와 평촌까지 포함된수도권지역에 공급하는 수원으로서 절대적 역할을 하고 있으며, 경기지방에 32百萬㎥의 관개용수와 한강하류에 255百萬㎥의 하천유지용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었다.
  • 홍수조절 효과 : 한강지역은 7∼9월에 하절기의 집중강우로 인하여 크고 작은 홍수가 매년 반복되어 인명 및 재산피해를 입어 왔으며, 경제활동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였다. 그러나 소양강다목적댐이 500百萬㎥의 홍수를 저류하여 과거와 같은 피해를 크게 경감하게 되었는데, 이는 연평균 528백만원의 편익으로 추정된다.
  • 간접효과 : 댐을 축조하여 거대한 인공호소가 형성됨으로써 경관이 아름다워 국민정서 생활함양, 국민관광지 및 휴양지로 제공하고 내수면 어업개발, 유람선 운항 등 지역경제 발전에도 기여하게 되었다.
  • 발전편익 : 소양강수력은 시설용량이 200천㎾, 연간 발전량이 353GWh이고, 하류지역의 의암, 청평, 팔당의 자연유하식 발전소에서 연간 61GWh의 발전량을 증가할 수 있으므로 이는 34,000㎾의 신규 발전소를 건설한 효과와 동등한 것이며, 본 사업에 의한 연간 발전량은 합계 414GWh이다. 상시 첨두출력은 159,500㎾이며 이에 상당하는 발전편익은 1,140백만원이다.
연혁
1960. 4 타당성보고서 작성(Smith Hintchman Gryll)
1962. 11 세부조사 설계 실시(대한토목학회)
1967. 4 소양강다목적댐 건설공사 착공
1968. 3 제1호 가배수로 터널공사 기공
1969. 10 제1호 가배수로 터널통수 및 가물막이 체절
1969. 11 제2호 가물막이공사 착공
1969. 11 제2호 가물막이공사 착공
1970. 4 본댐 축조공사 개시
1970. 5 발전소 공사 착수
1970. 6 제2호 가배수로 터널 통수
1970. 10 발전소 도수로 터널 관통
1971. 11 제1호 가배수 터널 폐쇄
1972. 11 본댐 축조 완료 및 제2호 가배수터널 폐쇄
1973. 10 공사준공 및 발전개시
1973. 12 건설완료
설계 및 시공의 특징
  • 댐 형식의 설계 변경
    소양강댐은 재원의 일부(약 37%)를 대일 청구권자금(7,795백만¥)을 도입하여 건설한 댐으로서 (주)일본공영에서 설계용역을 담당하면서 당초에는 콘크리트 중력식댐으로 설계하였으나, 당시 우리나라의 철근 시멘트 등 건설 자재의 생산 능력으로서는 그와 같은 대규모의 토목공사를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이었으며 시공지점이 산간벽지인 관계로 막대한 수송비가 소요되고 댐 파괴에 의한 수도권지역의 안보 등을 고려하여 댐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이용한 ROCK FILL DAM으로 설계변경하였다.
  • 댐체 축조 공사에 중장비 사용
    소양강 댐은 우리나라 최초의 Fill type Dam으로서 Concrete 중력식 댐이나 Arch형 댐과는 달리 축제재료는 점토, 침니, 자갈, 암괴였다. 따라서 댐의 안정을 기하기 위해서는 성토재료의 적부판정과 성토재료의 다짐은 극히 중요하였다. 도급사(현대건설(주))에서 27ton급 자주식 Tamping Compactor(Catpillar 824 B type)를 반입하여 가동을 개시하여 그 위력을 발휘해 대단한 효과와 공기의 단축이 있었다. 또한, Pay loader 1대로 Core재와 Filter재를 교대로 적재했기 때문에 공사진도와 현황에 불안감이 있었으나, Hino dump truck(13.4ton) 20대, Pay loader 2대가 새로 대여되어 본격적인 축제공사에 박차를 가하게 되었다. 소양강댐 공사는 당시 국내 최대의 토목공사로서 3㎥ Scooper, 32ton Dump Truck, 760㎥/hr Bucket Wheel Excavator, 22Ton Tire Roller 등 대형장비가 도입되었다는 것은 특기할 만한 사항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