댐정보

한국의댐

합천다목적댐

합천다목적댐은 낙동강 유역 종합개발계획의 일환으로 합천읍 북방16㎞ 지점의 황강협곡에 건설한 높이 96m,길이 472m, 체적 90만㎥의 콘크리트 중력식댐으로 유역면적 925㎢, 저수용량 7억9천만㎥이다.
합천댐은 1982년 4월에 공사를 착수한 이래 7년 1개월만인 1989년 12월에 건설공사를 완료하였는데, 이 댐은 기존의 댐과는 달리 지형상의 특성을 고려하여 자연낙차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수로식 발전형식을 취하고 있다. 또한 본댐 하류 6.5㎞ 지점에 높이 29m의 콘크리트 및 석괴혼합식의 조정지댐을 건설하여 용수공급을 원활히 하기위해 시설용량 600㎾인 2기의 발전설비를 설치한 저낙차 소수력 발전소를 갖추고 있다.

일반
하천명 낙동강 제1지류 황강
위치 댐지점 좌안 경남 합천군 대병면 상천리
우안 경남 합천군 대병면 회양리
유역면적 925㎢
총사업비 2,624억원
연평균강우량 1,278㎜
연평균유입량 573백만㎥
사업기간 1982. 4 ∼ 1989. 12
본댐
형식 콘크리트중력식
길이 472m
높이 96m
체적 89萬㎥
마루표고 181.00ELM
여수로
계획방류량 6,200(㎥/sec)
문비 5문(13m×13.5m)
발전소
형식 반지하 콘크리트 골조직
수차발전기 3상종축 우산형 (Francis)
시설용량 10만㎾
정격낙차 95m
연간발전량 232.4백만Kw
저수지
계획홍수위 179.00ELM
상시만수위 176.00ELM
홍수기제한수위 -
저수지 140.00ELM
총저수용량 790百萬㎥
유효저수용량 560百萬㎥
저수면적 25.0㎢
조정지댐
형식 콘크리트 및 석괴혼합식
높이 29m
길이 275.5m
유효저수량 17백만㎥
시설용량 0.12만kW
수차발전기 3상횡축 PACKAGE(Tubular)
정격낙차 7.3m
유역개황

합천다목적댐이 위치한 황강은 낙동강 하구로부터 약 110㎞상류에서 본류와 합류하는 낙동강 제1지류로서 그 유역면적은 925㎢이며 낙동강 유역면적의 4%를 점유하고 있다. 소백산맥의 대덕산에서 발원하여 63㎞의 유로를 남동류 하다가 합천댐 지점에서 유로 방향을 동쪽으로 바꿔 54 ㎞ 떨어진 지점에서 낙동강 본류와 합류한다. 인접 유역으로는 북서쪽에서 금강유역과 접하며 남서방향으로 남강유역과 접하고 있다. 합천다목적댐 유역은 유로연장 63㎞, 유역면적 925㎢로서 황강 전 유역의 70%를 차지하며 댐지점의 하상구배는 1/110정도이고 평균고도는 해발 250∼ 300m이다.
댐 지역에서의 하상고는 해발 89m이며 20%이하의 비교적 완만한 구배를 가진 면적은 전유역의 23.9%이며, 토지이용 상태는 18%가 농경지이며 나머지는 거의 산림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평균 강수량은 1,277.5㎜이고 연평균 유입량은 573,200천㎥이다. 본댐 하류 2.5㎞지점에 조정지댐이 위치하고 있다. 댐유역내 행정구역은 1군 2도 5개면 29리이다.

건설배경

1970년대부터 급격한 중화학 공업화, 도시인구의 집중화에 따른 각종 용수수요는 매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되었고 산업 및 생활하수로 인한 하천의 수질오염은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수자원 개발을 위하여 국토종합개발계획을 꾸준히 추진하여 1966.11.부터 1972.3. 까지 UNDP와 FAO합동조사단이 실시한 낙동강유역 조사에서 합천다목적댐 건설을 낙동강유역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할 것을 정부에 건의하여 1973.10.부터 동년 12월까지 합천다목적댐 기본계획을 수립하였으며 1974.6.타당성 조사를 서둘렀다.
그러나 이 사업은 낙동강 하구둑건설 사업과의 병행이라는 현실적인 문제로 차관교섭과 정부의 재정형편상 개발사업의 착수는 지연되고 있었다. 이에 따라 1974.10.부터 1977.12.까지 실시한 하구둑 타당성 조사결과 합천댐 건설을 하구둑과 병행해서 실시함이 바람직하나, 정부재정 형편에 따라 하구둑과 별도로 1983.12.16.에 본 공사를 착공하여 1989.5.26. 준공하였으며 총사업비는 내외자를 합쳐 262,114백만원이 투입되었다.

수력발전소

1987년 12월 29일 제2발전소 상업발전 및 1989년 3월에 제1발전소 상업발전을 개시하여 날로 급증하는 전력수요에 대처하고 있다. 시설용량은 제1발전소 10만㎾(5만㎾×2대) 와 제2발전소 1,200㎾(6백㎾×2대)로 총 10만1천2백㎾의 시설용량을 갖추고 있다. 연간 2억3천2백만㎾h 의 전력 생산량은 벙커 C유 약 27만 드럼분에 해당하며, 이로써 연간 46억원의 유류수입 대체 효과를 거두고 있다.

효과
  • 용수 효과 : 낙동강 하류에 위치한 부산, 창원, 울산, 마산, 진해등 주요산업도시에서 증가하는 용수수요에 대처하기 위하여 연간 599백만㎥의 용수를 공급하게 되는데 그중 520백만㎥가 생 공용수로 이용 되며 황강 및 낙동강 연안 4,246ha의 농경지에 32,000백만㎥의 관개용수, 47백만㎥의 하천 부지용 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었다.
  • 홍수조절 편익 : 댐하류 지역의 하절기 장마기간동안 집중강우로 인해 상습적으로 도시 및 산업기반시설, 농경 지침수를 초래하였으나 댐건설로 인해 연간 80백만㎥의 홍수조절이 가능하여 년간 약 3,100백만 원의 홍수피해를 경감하게 되었다.
  • 발전 편익 : 합천 수력발전소는 본 댐하류 4.5㎞ 지점에 위치한 시설용량 100천kw와 조정지댐에 시설용량 1.2천kw를 갖춘 발전소를 설치하여 연간 234Gwh의 전력을 생산하여 첨두발전을 통한 무공해 수 력에너지를 공급함으로서 벙커C유 29만 드럼의 유류절감 효과를 가져와 외화절약 및 영남권 지 역의 전력수급에 원활히 대처할 수 있게 되었다.
  • 간접 효과 : 저수지 면적 23.3㎢(상시만수위 기준)의 합천호는 주변지역에 수려한 자연경관을 조성하여 인근 의 국립공원 가야산 및 해인사 등의 명소와 더불어 내륙관광권으로 각광받게 됨으로서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댐하류의 적정조정방류로 악화된 수질을 개선할 수 있게되었다.
연혁
1966 ~ 1972 낙동강 유역 조사 실시
1973 기본 계획 수립
1974. 6 ~ 1974. 12 타당성 조사
1982 ~ 1983 실시 설계
1982. 4. 10 진입 도로 공사 착공
1983. 10. 11 일본 협력 기금과 차관 협력 체결
1983. 12. 16 본댐 공사 착공
1984. 9. 30 본댐 유수 전환
1985. 6. 12 본댐 콘크리트 타설 개시
1988. 7. 1 담수 개시
1989. 12 준공
설계 및 시공의 특징
  • Jib Crane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
    합천다목적댐의 본댐 콘크리트 타설량은 약 90만㎥의 대용량으로서 콘크리트 타설장비의 선정 이 가장 중요한 과제의 하나였다. 타설에 가장 적합한 장비를 계획하기 위해 본댐 양안의 지질 조건을 고려하여 타설장비인 Jip crane과 cable crane을 비교 검토하였다.
    대청댐 및 충주댐에서 이용하였던 Cable crane은 이동단 및 고정단을 각각 설치하여 작업범위를 확보하는 방식으로써 이 방법을 이용할 경우 확보된 기능공과 장비를 전용할 수 있어 장비 구입 가격이 저렴하게 되며 설치 후 운용면에서 비교적 용이하나 관련 설비의 구성이 복잡하여 추 가비용이 증가되며 이동단 설치위치인 우안 정부의 지항지질 상태가 비교적 불량하여 기초 공사비가 많이 들며, 또한 기초 굴착과다로 인한 자연환경 훼손이 많아 복구 공사에 과다한 공사비가 소요되는 반면에 Jib Crane은 관련 설비가 간단하고 자연환경 훼손이 적으나 장비 구입비가 비싸며 설치 후 댐 기초 공사에 제약을 받는다.
    이상과 같이 검토한 결과 우안의 지질 조건으로 Jib Crane을 사용키로 결정 후 정치식과 이동식 Jib Crane에 대하여 다시 검토하여 일본에서 안전 및 신뢰성이 인정되어 1979년 이후 사용하 고 있는 정직식 Jib Crane을 선택하여 본댐 Concrete타설에 이용하였다. 본 설비는 용량 13.5ton, Boom길이 75m의 정치식 Jib Crane 3대를 댐축과 병행해서 설치하고 하류에 콘크리트 운반용 가 설 교량을 설치하는 방식으로써 대우조선(주)에서 제작하여 국내 최초로 합천댐 건설사업에 사용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