댐정보

한국의댐

대청다목적댐

대청다목적댐은 높이 72m, 길이 495m, 체적 123만4천㎥의 중력식 콘크리트댐과 사력댐으로 구성된 복합형 댐으로 금강하구로부터 150㎞ 상류지점인 대전시 동북방 16km, 청주시 남방 16㎞ 지점에 위치해 있다. 금강은 우리나라 중부 내륙에서 서해로 흐르는 유로연장 401㎞에 유역면적이 전국토지면적의 약 10%에 해당하는 9,810㎢이며, 주변에 대전, 청주, 전주, 군산, 이리 등 주요도시들이 위치하고 있으며 각종용수가 부족한 실정이었다. 대청댐의 주요시설로는 저수용량 14억9천만㎥의 본댐과 조정지댐이 있으며, 본댐 주변에는 저수지내의 물이 다른 지역으로 넘치지 못하도록 해 주는 3개의 보조댐이 있다. 또한 대전과 청주지역으로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도수로와 시설용량 9만㎾의 수력발전소가 있다. 이 댐은 1975년 3월에 공사를 착수하여 5년 9개월의 공사끝에 1981년 6월 공사를 완료하였는데, 이 댐의 완공으로 댐 하류지역의 홍수피해와 하류연안 농경지의 염수피해를 경감시키고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유역내 인접도시의 생.공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일반
하천명 금강 본류
위치 댐지점 좌안 대전시 대덕구 미호동
우안 충북 청원군 문의면 덕유리
유역면적 4,134㎢
총사업비 1,557억원
연평균강우량 1,174㎜
연평균유입량 2,722百萬㎥
사업기간 1975. 3 ∼ 1981. 6
본댐
형식 콘크리트 중력식 및 사력식
길이 495m
높이 72m
체적 123萬㎥
마루표고 EL83.00m
여수로
계획방류량 6,000(㎥/sec)
문비 6문(13m×15.9m)
발전소
형식 반지하식
수차발전기 3상종축 우산형(Francis)
시설용량 9만kW
정격낙차 38.7m
연간발전량 240∼196GWh
저수지
계획홍수위 EL80.00m
상시만수위 EL76.50m
홍수기제한수위 EL72.00 ~76.50m
저수지 EL60.00m
총저수용량 1,490百萬㎥
유효저수용량 90百萬㎥
저수면적 72.8㎢
조정지댐
형식 콘크리트 중력식 및 석괴댐의 복합형 댐
높이 16.7m
길이 234m
유효저수량 3.8百萬㎥
유역개황

우리나라 중부내륙에서 서쪽의 황해로 흐르는 금강은 전국토 면적의 약 10%에 해당하는 9,810 ㎢이며, 유로연장은 401㎞로써 중하류 지역은 곡창지대이기도 하다. 금강은 미호천을 제외하고는 큰 지류가 없으며 본류는 소백산맥에서 발원하여 대청댐의 상류구간에서 노령산맥을 관류 하행하고 있다. 따라서 금강 상류부에는 협곡을 이룬 곳이 많으며 하천 구배는 상류부에서 1/500∼1/1,000, 중류부에서는 1/1,000∼1/3,000로 급한 구배를 보이며 대청댐 이하 하류구간은 1/5,000∼1/8,000의 완만한 구배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지형적인 특성으로 금강유역 내에는 인근 낙동강 유역과는 달리 본류 중류부에 댐개발 가능 지점이 산재하여 비교적 풍부한 수자원개발의 가 능성을 보유하고 있다.
금강유역은 연중강수량의 약 2/3가 여름철 3∼4개월안에 편재하는 관계로 대청댐 지점의 유입량은 연평균 32억㎥ 인데 최소치와 최대치의 기록을 보면 약 8억㎥과 49억㎥의 극심한 변화가 있어 갈수년에는 용수부족 현상이 나타나게 되어 수자원 종합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된 것이다.

건설배경

수자원의 다목적 개발을 위하여 4대강 유역개발계획이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초에 수립 되어 이 계획의 일환으로 대청다목적댐을 건설하게 되었다. 여기서 대청다목적댐이 착공 되기까 지 금강유역 수자원 개발에 대한 연혁을 살펴보면 1959년 미국인 LEWIS.G.SMITH가 우리나라 물자원 개발에 관한 보고서를 우리정부에 보고하기 전까지는 수력발전을 위한 단일목적댐으로 수통, 용담지점이 고려되어 왔으나 1960년대 초에 이르러 금강유역의 풍부한 수자원을 만경강 유역 개발에 이용하는 물자원 개발에 관한 광역계획을 시도하기에 이르렀다.
이후 이 유역 변경에 대한 본 공사가 추진되기 전에 익산, 강경지역의 관개용수를 해결하 기 위하여 금강하류부 강경지점에 양수장을 설치하는 사업이 I.B.R.D 차관으로 착공하게 되어 용담 다 목적댐 사업은 관개용수부문이 필요없게 되므로써 결국 다목적댐으로서의 타당성이 없어지 게 되었다. 그후 금강유역의 물자원개발을 위한 본격적인 조사는 우리나라 수자원 주관부처인 건설부 주관으로, 또한 수자원 개발전문기관인 K-water(당시 한국수자원개발공사)가 1967년 금강유역조사사무소를 설치하면서 시작되었다. 1972.2. 금강유역 수자원 종합개발에 관한 최종보고서가 나올 때까지 5개년에 걸쳐 이 유역의 수자원 종합개발계획에 필요한 제반조사를 면밀히 수행하였으며 결론적으로 대청다목적댐의 건설을 건의하였다.
수통, 옥천, 대청, 명천 등 여러 댐 후보지점에 대하여 개발계획을 비교 검토한 결과 대청댐 이 개발 타당성 제1위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금강유역의 용수문제는 중류부에서 대전과 청주의 양대 도시 부근의 생.공용수 수요 급증과 미호천 하류 지경을 비롯한 강경, 논산 지역 등 수만정 보의 관개개발 지구에 관개용수 공급 문제 등을 고려할 때 금강 본류의 유역변경은 장기적인 안 목에서 볼 때 불가함이 판명되었다.

수력발전소

1980년 11월 18일 상업발전을 개시하였으며 시설용량은 9만㎾(4만5천㎾×2대)이다. 연간 2억4천만㎾h의 전력을 생산하여 중부지역에 공급함으로써 이 지역 경제발전의 원동력이 되고 있다. 이 전력량은 벙커C유 약 30만 드럼분에 해당하여, 연간 41억원의 유류대체로 외화를 절감하고 있다.

효과
  • 용수효과 : 대청다목적댐의 연간 용수공급량은 1,649百萬㎥로서 그 중 1,300百萬㎥가 생.공용수로 사용되며 대전, 청주 등의 충청권과 전주, 군산, 이리를 포함한 전북권 지역의 생.공용수 공급원으로서 절대적 역할을 하고 있으며, 청주지구, 금강 하류 및 만경강 지구에 349百萬㎥의 관개용수를 안정적 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었다.
  • 홍수조절 편익 : 금강 유역은 7∼9월 하절기의 집중강우로 인하여 매년 홍수가 반복되어 인명 및 재산 피 해를 입어 왔으며, 경제활동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였다. 그러나 대청다목적댐이 250百萬㎥의 홍수를 저류하여 과거와 같은 피해는 크게 경감되었다.
  • 발전 편익 : 대청 수력은 시설 용량이 90천kW, 연간 발전량이 240GWh로서 연간 벙커C유 300천 드럼의 유류대체효과를 기할 수 있어 외화절약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첨두발전을 담당하기 때문에 우리나라 전력공급에 크게 공헌할 수 있게 되었다.
  • 간접 효과 : 댐 하류부의 상시유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도시화와 공업화에 따라 오염된 수질을 정화시키고 금강하구로부터의 염수역류를 방지하는데도 일익을 담당하게 되었으며 또한 대청댐이 건설됨으로써 광대한 호소가 형성되어 이 지역의 관광자원개발 등이 가능하게 되었다.
연혁
1968. 4 ∼ 1972. 2 금강유역 조사실시
1972. 6 ∼1973. 10 대청다목적댐 사업 타당성조사
1973. 7 ∼1974. 8 댐, 발전소 및 부대공사 실시설계
1975. 3. 27 진입도로 공사 착공(진흥기업)
1975. 12. 27 진입도로 개통
1976. 12. 30 댐 발전소 및 부대시설공사 착공(현대건설)
1977. 1. 8 본댐 기공식
1977. 12. 24 역조정지, 대천 청주 도수로공사 착공(현대건설)
1978. 8. 28 부댐공사 착공
1979. 12. 4 부댐공사 준공
1980. 6. 30 담수 개시
1980. 10. 20 대전 청주 도수로 용수 공급 개시
1980. 11. 18 상업 발전 개시
1980. 12. 2 준공식
1981. 6. 30 사업준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