댐정보

한국의댐

섬진강다목적댐

우리나라 다목적댐의 효시인 섬진강댐은 높이 64m,길이 344.2m, 체적 41만㎥의 콘크리트 중력식댐이다. 이 댐에는 국내 최초의 수력발전소인 칠보 발전소(34,800㎾)와 운암발전소('85.3 폐쇄)가 있으며, 6,216m의 칠보 발전소용 취수터널과 800m의 농업용수 공급을 위한 터널을 갖추고 있다. 섬진강은 전북 진안군에서 발원하여 도중에 대소지류와 합류, 경남 하동군과 전남 광양군 사이에서 남해로 유입되는 유역면적4,897㎢,유로연장 226km의 국내 5대 하천중의 하나이며, 연평균 강수량은 1,219㎜로써 비교적 풍부한 물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섬진강 다목적댐은 정부의 제1차 경제개발계획에 의하여 전력부문의 집중투자로 1961년 8월에 착공하여 1965년 12월에 완공했는데, 전력자원에 빈약한 호남지방의 수력에너지를 개발함으로써 주요자원 개발을 위한 동력원의 공급은 물론, 발전에 사용한 물을 동진강에 방류하여 김제평야의 곡창지대를 기름지게 하고 있다. 또한, 섬진강 유역의 홍수피해를 경감시키면서 하류지역의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시설을 갖추고 있다.

일반
하천명 섬진강지류 보성강
위치 댐지점 좌안 전북 임실군 강진면 옥정리
우안 전북 정읍시 산내면 종성리
유역면적 763㎢
총사업비 80억원
연평균강우량 1,254㎜
연평균유입량 502백만㎥
사업기간 1961. 8 ∼ 1965. 12
본댐
형식 콘크리트 중력식
길이 344.2m
높이 64m
체적 41萬㎥
마루표고 200.00ELM
저수지
계획홍수위 197.70ELM
상시만수위 196.50ELM
홍수기제한수위 -
저수지 175.00ELM
총저수용량 466百萬㎥
유효저수용량 370百萬㎥
저수면적 26.5㎢
발전소
수차발전기 입축(Francis)
시설용량 3.48만kW
정격낙차 151.7m
여수로
계획방류량 1,868(㎥/sec)
문비 15문(9m×15.9m)
유역개황

섬진강은 장수,임실,진안등 3개 군의 경계를 이루는 팔공산에서 발원하여 약82Km 서남류하여 섬진강댐 지점에 이르게 되며,댐 지점으로부터 남동류하여 오수천,요천,보성강,등의 지류와 합류하여 전남 광℃양군과 경남하동군 지점에서 다도해로 유입하는 유로 연장 212Km의 하천이며,유역면적은 4,890Km2로 우리나라 4대강 중에 하나이다.
섬진강은 발원지에서 82Km위치이며,유역면적은 763Km2이고 유역내에는 전라북도 진안,임실,순창,정읍이 있으며,댐지점은 좌안이 임실군 강진면이고 우안이 전읍시 산내면이다.
유역의 기후는 년평균 기온이 12℃내외이며,1975 ~1997년 유역 년평균강우량1,254mm로유입량은 년 약 502백만m2이며,강우의 계절적 분포는 6월에서 9월사이에 연간 강우량 60 ~70%가 발생한다.

건설배경

섬진강다목적댐을 건설하게 된 배경은 댐이 건설되기 전 우리나라의 곡창지대인 호남평야의 젖줄은 동진강이었지만 이 동진강은 평소 하천유랑이 절대부족하여 약간의 한발시에도 국가의 식량 생산에 커다란 차질을 빚어왔다.
따라서 동진강과 이웃해 있는 수원이 풍부한 섬진강 물을 유역 변경에 의하여 동진강에 공급하기 위하여 60백만m2의 이치형 관계용댐으로 1925 ~ 1929년 운암제(구댐)를 건설하였으며 지금의 다목적댐은 1940년 전력생산에 필요한 용수를 확보하고 관계용수 공급능력을 개선하기 위하여 기존 운암제 하류 2.4Km지점에 대규모 댐을 계획의 일환으로 건교부에서 1961 ~ 1965년 완공하였다.
댐규모는 저수용량 466백만m3,높이64m,길이344.2m,댐체적410,000m3의 중력식콘크리트댐이고,중요기능은 홍수조절,관계용수공급 350백만m3/년,생활용수공급 90m3/일,전력생산181백만Km/년이며,1973년부터 K-water에서 건설부로부터 관리권을 위임받아 관리하고 있다.

효과
  • 홍수조절 : 홍수조절용량 - 32백만톤(100년빈도)
    ※ 최대유입량 3,268톤/초를 1,868톤/초로 조절방류하여 하류부 홍수피해 경감
  • 발 전 : 181백만KWH/년
  • 관개용수 : 김제평야 일원 및 계화도에 350백만톤/년 용수공급(30170 ha)
    ※ 3월말 관개용수 확보수위 : EL.188.68m
  • 생활용수 : 시설용량 - 90,000톤/일
    ※ 급수대상지역 : 전주시, 정읍시, 김제시, 고창군, 부안군
연혁
1940. 4 착공
1944. 9 제2차 세계대전으로 중단
1948. 8 재착공(한전)
1950. 6 6.25동난으로 중단
1961. 8 건설부 기공(제1차 경제개발계획의 일환)
1965. 12 섬진강댐 준공
1973. 1 건설부로부터 관리위임 받음
1993. 5 섬진강 댐, 섬진강용수 통합관리
1999. 3 섬진강댐 관리단 개소